흥양이씨 가첩 발간내역 |
|||||
회차 |
발행년도 |
발행자 |
판본 |
비 고 |
참가 파 |
창석가첩 |
경자1600 |
발행자미상 |
필사 목판 |
미상 하 미상, 종린 목판으로 추측됨. |
|
서곡가첩 |
? |
필사 |
요복선생이 참조했다고 하나 미상 |
||
신와가첩 |
? |
||||
요복족보 |
계해1803 |
목판 |
(발행자 유, 무. 2종류가 있음) |
요복, 요좌, 요신, 요희 수생-지정파, 수천-수인, |
|
이규영 |
18 |
활판 |
|||
이주하 |
정축1937 |
(고흥) |
활판 |
소하12년 발행 |
시좌, 주하 |
이시좌 |
시. 갑술1934 완. 임오1942 |
시좌, 종린 석면 |
목판 활판 |
(상)(갑장산 용흥사 )창석하계 수정. (하) |
시좌, 종린, 종구, 석면, 고흥, 상주보 수정발행 |
이종경 |
을미1979 |
종경(석면) |
활판 |
||
이권 |
임진2012 |
이권(동훈) |
전자 |
기타파보: 무주보, 수원보, 당두보, 담양보, 고흥보, 군위보, 및 가첩,
⊙ 1차 족보를 만들 때 요신선생의 “족보의 변”은 많은 것을 생각하게 한다.
⊙ 갑술보. 壬申(1933)년 만수선생(시좌)고흥을 왕래하면서 흥양군비문, 금성사기문등을 짓고 족보를 시작하면서 고흥을 왕래하다가 말에서 낙상해서 종린, 종구, 석면께서 임오1942년 즉 시좌선생께서 돌아가시는 해에 완성함. 이후 석면선생은 창석종가 즉 기락선생 손자 집에 세하선생 선친이 월간종손으로 들어왔다가 누명을 씌워 쫓아내고 월간종손으로 들어옴. 시좌선생 후손은 추동 원간재산 전채를 관리함. 종린선생은 H자 기와집을 짓고, 몇몇이 선조의 재산을 나누어 가지다.
그사이에 고흥에서 고흥족보를 먼저 만듬.
⊙ 고흥보를 만들 때 상주시내에 사시는 종식선생 증언에 족보 한다고 자기 집에 3개월 머물며 토지조사를 하고, 갈 때는 말없이 돌아갔다고 함.
이후 목사공과 배위를 고흥으로 이장함. (종식선생 말씀에 아내가 흥양이씨 진저리난다. 하시다)